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재산세 납부 시기와 방법 절약팁까지 총정리

by warmy_01 2025. 5. 8.
반응형

🏠 1. 2025년 재산세 납부 시기와방법 총정리

재산세는 부동산, 토지,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의 재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해당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납세의무자가 되며, 납부 시기와 방법을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산세는 매년 정해진 기간(7월·9월)에 납부해야 하며, 단 하루라도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하셔야 합니다. 조금 귀찮더라도, 제때 납부하는 것이 가장 큰 절세입니다.

🗓️ 2. 재산세 납부 시기, 이렇게 나뉩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 건축물, 토지 등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예요.
하지만 납부는 두 시기(7월, 9월)에 나눠서 진행된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아래에서 항목별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위택스 바로가기 링크
위택스 바로가기


🔹 1차 납부: 7월 16일 ~ 7월 31일

✅ 납부 대상 항목:

  • 주택분 재산세 1/2 금액
  • 건축물 (상가, 오피스텔 등)
  • 선박
  • 항공기

📌 주택 보유자라면 이 시기에 전체 세액의 절반만 납부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주택분 재산세가 40만 원이라면 7월에는 20만 원을 납부하게 되는 거예요.

🔸 단, 주택분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 전액이 7월에 한 번에 부과됩니다.


🔹 2차 납부: 9월 16일 ~ 9월 30일

✅ 납부 대상 항목:

  • 주택분 재산세 나머지 1/2 금액
  • 토지 (대지, 논밭, 임야 등)

📌 9월에는 주택분 잔여분과 함께 토지에 대한 재산세가 함께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단독주택과 대지를 모두 소유한 경우
👉 7월에는 건물에 대한 세금,
👉 9월에는 토지 + 주택 나머지 절반 세금을 납부하게 되는 거죠.

재산세 납부방법 사진
재산세 납부방법


💡 월별 정리 요약표

월납부 항목비고
6월 1일 과세 기준일 이 시점에 소유한 사람이 납세의무자
7월 16일~31일 주택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20만 원 이하 주택은 전액 납부
9월 16일~30일 주택 나머지 1/2, 토지 가장 큰 세금 부과 시기
 

❗ 꼭 기억하세요!

  • 📍 6월 1일에 부동산 소유자라면 올해 재산세 대상자가 됩니다.
    • 👉 잔금을 언제 치르느냐에 따라 납세의무자가 바뀌지 않아요!
  • 📍 **기한 내 미납 시 가산세 3%**가 붙습니다.
    • → 추가로 매월 0.75%씩 최대 60개월까지 중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어요.
  • 📍 20만 원 이하 주택 재산세는 일괄 납부로 9월에는 고지서가 안 옵니다.

✅ 예시로 보면 더 쉬워요!

🏠 A씨는 구리시에 1주택(아파트) 보유, 재산세 총액 30만 원

  • 7월: 15만 원 (주택 1/2분)
  • 9월: 15만 원 (주택 나머지 1/2분)

🏢 B씨는 빌딩(건물 + 토지)을 소유

  • 7월: 건물 재산세
  • 9월: 토지 재산세 + 주택 있다면 1/2 추가

 


이렇게 재산세는 소유한 자산의 종류에 따라 시기와 납부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 매년 6~9월 사이에는 고지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 위택스나 스마트고지로 미리 알림 받아두는 게 좋아요!

💻 3. 재산세 납부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재산세는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 납부기한(7월/9월) 내에 납부하는 것!
아래에서 방법별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종합소득세도 함께 챙기셔야 한다면, 글에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1. 위택스(Wetax) 온라인 납부

위택스 홈페이지 사진
재산세 납부

🖥️ www.wetax.go.kr 접속
→ “지방세 납부” 클릭
→ 공인인증서(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 전자고지 세금 확인 및 납부

📌 지원 브라우저: 크롬, 엣지, 사파리
📌 결제 방법: 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 Wetax는 전국 지방세 통합 포털이라
거주지역 상관없이 모든 지방세 납부 가능!

위택스 바로가기 링크
위택스 바로가기

 


✅ 2. 서울시 ETAX (서울 거주자 전용)

📍 etax.seoul.go.kr 접속
→ 로그인 후 “나의 세금” 확인
→ 납부 가능한 재산세 클릭 → 결제

📌 서울시민이라면 이 사이트가 더 빠르고 편리해요.

서울시 ETAX 바로가기 링크
서울시 ETAX 바로가기


✅ 3. 모바일 앱 납부

📱 스마트폰에서 아래 앱 설치:

  • 스마트 위택스 (전국용)
  • 서울시 세금납부(STAX) (서울 시민용)

→ 앱 실행 → 공동인증서 로그인 or 간편인증
→ 납부 내역 확인 → 간편결제 가능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연동 가능


✅ 4. 은행 ATM 또는 CD기 납부

🏦 가까운 은행 방문 후 CD/ATM기 사용

  • "공과금 납부" 선택
  • 주민등록번호 or 납세번호 입력
  • 고지된 재산세 금액 확인 후 카드 또는 현금 납부

📌 은행별 지원 가능 여부는 사전 확인 필요!


✅ 5. ARS(자동응답 전화) 납부

📞 1544-5390 또는 1599-3900 전화
→ 음성 안내에 따라 “지방세 납부” 선택
→ 주민등록번호 및 납부번호 입력
→ 카드번호 입력으로 전화 결제 완료

💡 고령자나 인터넷 미숙자에게 매우 유용


✅ 6. 편의점 납부 (바코드 고지서 지참)

🏪 CU / GS25 / 세븐일레븐 / 미니스톱
→ 고지서 바코드 제시
→ 현금 or 카드 결제로 납부

📌 24시간 납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
📌 주의: 일부 지역은 편의점 납부 불가할 수 있으니 고지서 뒷면 확인!

시계와 돈의 사진
재산세 납부방법


📝 납부 전 체크리스트

✅ 고지서 확인
✅ 고지서에 기재된 ‘납세번호’ 보관
✅ 납부 마감일 전 미리 결제 준비
✅ 공동인증서 갱신 여부 확인 (온라인 납부 시 필수)


❗ 납부 지연 시 주의사항

  • 기본 가산금 3% 자동 부과
  • 세액이 30만 원 이상일 경우
    → 매월 0.75%씩 최대 60개월까지 중가산세가 누적
  • 체납 상태 장기 지속 시
    → 부동산, 차량, 금융자산 등 압류 가능성

예를 들어, 재산세 100만 원을 깜빡하고 넘기면
1개월 후엔 103만 원, 2개월 후엔 103.75만 원…
→ 💸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 그래서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하세요

  • 7월 16일~31일, 9월 16일~30일은 달력에 꼭 표시해두기
  • 위택스 또는 모바일 납부 앱을 활용하면
    납부 기한 알림도 받을 수 있어요

이처럼 다양한 납부 방법이 준비되어 있으니
📅 바쁜 일정 속에서도 편한 방법을 골라 기한 내에 꼭 납부하세요!

📌 4. 재산세 절세 팁, 이렇게 실천해보세요!

재산세는 피할 수 없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줄일 수 있는 세금입니다.
아래의 절세 팁을 잘 활용하면 수십만 원까지 절약할 수 있어요 💸


✅ 1. 과세 기준일을 고려한 부동산 거래

📅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즉, 6월 1일에 해당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
그 해의 재산세를 모두 부담하게 됩니다.

🔍 절세 전략:

  • 부동산을 팔 예정이라면 5월 말 이전에 잔금을 마치는 게 유리해요.
  • 반대로, 살 예정이라면 6월 2일 이후에 잔금을 치르면 해당 연도의 재산세는 안 내도 됩니다.

📌 주의사항:

  • 실거래일이 아닌, 등기일·잔금일 기준이라는 점 꼭 확인하세요!

✅ 2. 1가구 1주택 감면 요건 체크

1가구 1주택 보유자는 재산세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2025년 기준 공제 내용:

  • 공시가격 3억 원 이하 (시가 약 6억 원 이하):
    → 재산세 최대 30% 감면
  • 공시가격 3억 초과 ~ 6억 이하:
    → 최대 15% 감면

✔️ 세금이 자동으로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에서 1가구 1주택자로 확인되어야 하므로
등본상 주소 이전, 가족 구성 확인이 중요합니다.


✅ 3. 전자고지 + 자동납부 신청 시 소액 공제

정부는 종이고지서 대신 전자고지서를 이용하거나,
자동이체 납부를 설정한 납세자에게 소액 공제를 제공하고 있어요.

💸 혜택 예시:

  • 전자고지 신청 시 150원 ~ 300원
  • 자동이체 시 150원 ~ 500원
  • → 많아 보여도 전국민 대상 누적 수익으로는 매우 크죠!

📌 신청은 위택스나 은행에서 가능해요.


계산기 사진
재산세 납부방법

✅ 4. 건물·토지 분리 과세 내용 검토

주택은 건물과 토지가 합쳐져 있고, 재산세도 각각 계산돼요.
→ 그런데 건물은 감가상각 적용,
토지는 기준세율 그대로 적용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절세 전략:

  • 건물 비율이 높게 책정되어 있다면 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어듭니다.
  • 이 비율은 감정평가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기도 해요. (전문가 도움 필요)

📌 고액 재산세 납부자라면 감정평가 후 지자체에 조정 신청하는 경우도 있음.


✅ 5. 공시가격 확인 → 이의신청 가능

재산세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공시가격이 비현실적으로 높다면, 이의신청으로 낮출 수 있어요.

💡 이의신청 팁:

  • 매년 4~5월: 개별 공시가격 열람 및 이의신청 기간
  • 위택스 또는 시청 세무과에서 신청 가능
  • 실거래가와 큰 차이가 있을 때 유리

📌 이의신청 성공 시 재산세 뿐 아니라 종부세, 건강보험료까지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


위택스 바로가기 링크
위택스 바로가기

🧾 5. 요약 체크리스트

절세 항목실천 방법
과세 기준일 고려 6월 2일 이후 잔금 처리
1가구 1주택 혜택 주소지·세대주 일치 확인
전자고지/자동납부 위택스, 은행 통해 신청
공시가격 이의신청 4~5월 기간 중 신청
감정평가 활용 건물·토지 비율 조정 검토
 

✅ 마무리 Tip

재산세는 꼼꼼히 챙기는 사람만이 아끼는 세금입니다.
이번 연도에는 위 내용을 참고해서
📉 과도한 세금 부담은 줄이고,
📅 납부 기한은 미리 챙기고,
💰 합리적인 절세 전략을 실천해보세요!

반응형